근로자의날 세계적 유래 및 우리나라 유래

근로자의날! 근로자의날은 근로기준법의 적용을 받는 모든 근로자들이 돈을 받으며 쉴 수 있는 유급휴일이에요. 즉 쉬더라도 그 날만큼은 별도의 휴가 내지 않아도 회사로부터 돈을 받을 수 있는 휴일이랍니다. 많은 근로자들은 "아싸"하며 좋아라 할 날이며, 사장님들은 "일도 안 하는데 돈을 줘야 하네!" 하는 날이죠!

 

이렇게 각자의 입장이 다른 근로자와 사장님들 근로자의 날이 어떻게 생겨났는지 아시나요? 지금부터 근로자의 날이 세계적으로 어떻게 생겼고, 우리나라는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그 유래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근로자의 날 언제 어떻게 생겨났나?

근로자의날은 미국에서 처음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1886년 5월 1일 미국 노동자들이 하루 8시간 노동을 위해 투쟁을 했다고 합니다. 당시 미국 근로자들은 열악한 노동환경과 적은 보수로 인해 노동착취를 당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미국 노동자들은 하루 8시간 노동 실현을 위해 총파업을 결의했으며, 5월 3일 시카고에서는 21만 명의 노동자와 경찰의 충돌로 유혈사태까지 벌어졌다고 합니다.

 

이날을 기념하고 근로자 정신을 기리기 위해 1889년 5월 1일 파리에서 열린 제2인터내셔널 창립대회에서 세계 여러 나라 노동운동 지도자들이 모여 5월 1일을 근로자의 날로 선언하면서 근로자의 날이 생겨났으며, 미국에서는 근로자의 날을 Mayday(메이데이)라고 부른답니다.

우리나라의 근로자의 날 유래

우리나라 최초의 노동운동

우리나라의 근로자의 날은 일제 강점기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우리나라가 일본으로부터 수모스러운 지배를 받던 1923년 5월 1일 약 2,000여명의 노동자들이 모여 노동 관련 행사를 열면서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이 날 노동자들은 노동시간을 단축하고, 임금을 인상해 줄 것과, 실업방지를 주장하는 행사를 벌였는데요! 

우리나라 근로자의 날 시행

우리나라는 첫 노동운동 이후 우리나라는 한국전쟁이 끝나고 어느정도 시간이 지난 1958년 3월 10일부터 근로자의 날을 시행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때에는 근로자의 날이 아니라 "노동절"이라는 명칭으로 행사를 치러왔습니다. 

 

이후 1963년 노동법 개정과정에서 명칭을 근로자의 날로 변경했으며, 노동계가 세계적인 노동절을 근로자의 날로 변경하자는 오랜 요청에 따라  1994년부터 5월 1일을 근로자의 날로 지정하여 시행해 오고 있답니다.

 

오늘은 근로자의날 세계적 유래 및 우리나라 유래에 대해 소개해 드렸습니다.

참고사항으로 근로자의 날은 유급휴일이므로 근로자가 그 날 근무하는 경우 통상임금의 100의 50 이상을 가산해서 지급받아야 합니다.

 

<주인장이 추천하는 글>

1. 직장인이 알아둬야 할 임금지급 원칙

2. 기아차 노조 소송을 통해 바라본 통상임금의 중요성

3. 손해보는 듯한 포괄임금제 속 야근수당 괜찮은가?

 

 

본 블로그 활동을 통해 다양한 제휴사이트로부터 일정 수수료를 제공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